반디소프트에서 제작한 Microsoft Windows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이며, 2014년 1월 7일 정식 버전이 출시됐습니다. 주 용도는 이미지 파일을 모아 압축한 압축 파일을 바로 보는 것입니다.
기존에는 꿀뷰2, 꿀뷰3 등으로 개발되었지만 5.0부터는 그냥 꿀뷰라는 이름으로 배포됩니다. 참고로 꿀뷰4는 없습니다. 꿀뷰4라는 이름을 내건 광고 유도 홈페이지 때문에 꿀뷰 4를 건너뛰고 바로 5.0으로 직행했습니다.
꿀뷰 5.0부터는 사진관리에 초점을 두고 개발되고 있습니다. 꿀뷰 5.0도 만화를 보는데 지장은 없지만 추가된 기능들이 거의 다 사진 관리에 관련된 부분. 예를 들면 사진의 GPS 정보를 읽는 기능이 있습니다. 5.0 버전 변경점 기존 버전은 파일 변환 기능등도 전혀 제공하지 않았지만, 5.0부터는 포맷 변화와 크기 조절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미지 선택창의 속도가 3.0에 비해 많이 느려 파일이 크고 아주 많은 만화를 본다면 3.0을 쓰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한장보기 기능도 있고요
2023년 4월 3일 새 버전의 반디뷰 베타가 릴리즈 되었습니다. AVIF, HiDPI, WoA 지원 등 꿀뷰 5.0 이후의 신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추가 내용은 반디뷰 문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장점
일단 무료입니다. 개인 사용자는 물론 기업 사용자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로딩과 다양한 포맷 지원을 지원합니다.
SIMD 기반으로 최적화 라이브러리로 JPEG 로딩 및 이미지 프로세싱 속도가 빠른 편입니다.
그 외에도 JPEG2000, HD Photo(JPEG XR), DNG, WebP 등 다양한 이미지 포맷을 지원합니다.
거의 모든 DSLR 제조사의 RAW 파일 포맷도 잘 지원합니다.
압축 파일 안에 있는 이미지도 별도의 압축을 풀지 않아도 볼 수 있습니다.
유니코드를 지원하여 일본 약자 등을 포함한 파일명을 고치지 않고도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널리 쓰이는 bilinear나 bicubic뿐만 아니라 Lanczos 알고리즘도 지원합니다.
컬러 매니지먼트를 지원합니다.
성능 상의 문제점
메모리 사용량이 타 프로그램에 비해 높은 편. 특히 대용량의 GIF, APNG, WebP 같은 파일을 볼 때 심한데 파일 크기가 커지면 메모리 사용량이 기가바이트 단위를 우습게 여기게 됩니다.
버전이 올라가면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고 덤으로 실행속도가 느려지고 있습니다. ACDSEE와는 달리 퀵뷰도 없는상태입니다. 즉, 기존 꿀뷰의 장점이던 빠른 속도의 빛이 바래지고 있습니다.
미지원기능
파일관리 기능 미제공
꿀뷰 개발 방향중 하나는 『보기는 꿀뷰에서, 파일 관리는 탐색기에서…』였습니다. 그래서 기초 관리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보여주기”에 기능을 집중했습니다. 윈도우의 기본 이미지 뷰어를 대체하는 프로그램이라고 보면 됩니다. 다만 윈도우 기본 이미지 뷰어가 가진 기능인 폴더의 파일 분류 순서에 따라서 이미지를 보는 기능이 없고 반드시 파일명 순서에 따라 읽습니다. 그나마 이후 탐색 순서(이름순, 수정순 등)를 뷰어 자체에서 지정하는 기능이 도입되었지만 탐색기와 연동되지 않는다는 건 여전히 단점이죠
탭 기능 미지원
창 상단의 제목 표시줄이 하드코딩으로 되어 있어서 윈도우 10에서 실행해도 윈도우 8.1의 제목 표시줄처럼 나타납니다.
내부 사정으로 인해 신규 기능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Windows on ARM 네이티브 미지원. 같은 제작사의 반디집, 꿀캠이 WoA를 네이티브로 지원한다는 것을 볼 때 확실한 단점입니다. 일단 WoA가 에뮬레이션을 지원하기 때문에 실행 자체는 가능합니다.
일부 포맷 미지원
32비트 BMP 투명색 미지원.
dds 파일 일부 버전 미지원 정확히는 Block Compression 압축 방식의 문제로, bc1, bc3, bc5는 지원하나 다른 포멧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업데이트로 bc7 압축 방식 dds 파일도 열어 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다만 BC6H나 8.8.8.8 QWVU 등은 지원하지 않아 투명하게 표시됩니다. 지원되지 않는 파일은 열면 흰색/회색 격자모양만 보이거나 x박스만 표시됩니다.
HEIC, AVIF 등의 최신 포맷 미지원. 원래 6.0 업데이트 때 지원할 계획이었으나 업데이트가 계속 연기되면서 지원되지 않고 있었으나 반디뷰 베타 버전 나오면서 반디뷰에 지원될 예정입니다.
지원포맷목록
이미지 포맷: BMP, JPG, GIF, PNG, PSD, DDS, JXR, WebP, J2K, JP2, TGA, TIFF, PCX, PGM, PNM, PPM, BPG
RAW 이미지 포맷: DNG, CR2, CRW, NEF, NRW, ORF, RW2, PEF, SR2, RAF
애니메이션 이미지 포맷: Animated GIF, Animated WebP, Animated BPG, Animated PNG
압축 해제 없이 볼 수 있는 압축 포맷: ZIP, RAR, 7Z, LZH, TAR, CBR, CBZ
HV3과 관련한 문제
꿀뷰엔 HV3이라는 자체 컨테이너 포맷이 존재합니다. 꿀뷰 외의 이미지 뷰어로는 볼 수 없지만, 홈페이지에 간단한 포맷 문서가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분석이 쉬워 포맷 공개전에 이미 해체툴이 나왔었습니다.
개발자의 HV3의 개발 의도, 목표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기존 포맷에 메타 정보(제본 방향, 저작권 등) 추가 저장 가능
온라인 인증으로, 합법적 만화 컨텐츠 유통 확보 (모 출판사와 함께 작업)
이미지 자체가 압축되어 컨테이너에서 압축하지 않아 빠른 속도 제공
헤더 정보를 앞쪽에 위치시켜 웹 스트리밍 손쉽게 만들기
PDF처럼 사용자가 수정 불가능한 기능 제공
하지만 암호화는 단순 XOR 암호화를 사용하여 손쉽게 해체 툴이 나왔습니다. 사실은 XOR 이외에도 많은 암호화가 들어있지만,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스트리밍을 고려했지만 인터넷 속도가 너무 빨라지면서 딱히 장점도 없었고, hv3 파일을 생성할때 jpg->hdp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데, hdp의 디코딩 속도가 너무 느려서 사용자가 hv3를 싫어하게 만드는데 영향을 주었었죠
결국 모 출판사와 함께 진행하던 유료 컨텐츠 개발 사업도 접히고, 모바일 기기가 많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hv3 같은 듣보잡 포맷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없어서 ALZ 와 함께 욕 먹는 대표적인 포맷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포맷이 공개되어있기 때문에 구글에서 조금만 검색하면 해제하는 프로그램이 꽤 많이 나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