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롤드컵 진출팀, 일정 , 진행방식 대폭변경

롤드컵 진출팀

현재 까지 롤드컵 진출팀은 LPL 과 LCS 말고는 선발전 진행중입니다. LPL과 LCS도 나머지 시드는 선발전 중이네요

리그별 시드권

총 22개 팀으로 치뤄집니다.

진행방식

이번 시즌을 기점으로 Worlds의 진행 방식이 대폭 변경되었습니다!

먼저 플레이 인 스테이지 진행 방식입니다.

마이너 리그의 7팀과 WQS[30]에서 승리한 1팀이 참가하며, 이중 2팀이 스위스 스테이지로 진출한다. 방식은 기존 조별리그에서 조별 더블 엘리미네이션 매치로 변경되었습니다.

플레이-인 스테이지의 모든 매치는 3판 2선승제로 진행됩니다.

스테이지 1

  1. (M1~M2, M6~M7) 각 조에서 한 매치에 2팀씩 배정됩니다.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M3, M8)으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M4, M9)로 진출합니다.
  2. (M3, M8) 보통 승자전으로 불리는 매치입니다.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플레이-인 스테이지 2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M5, M10)으로 진출합니다.
  3. (M4, M9) 보통 패자전으로 불리는 매치입니다.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M5, M10)으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탈락합니다.
  4. (M5, M10) 보통 최종전으로 불리는 매치입니다.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플레이-인 스테이지 2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탈락합니다.

스테이지 2
M3 승리팀 vs M10 승리팀, M5 승리팀 vs M8 승리팀으로 진행합니다.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스위스 스테이지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탈락합니다.

스위스 스테이지

LCK / LPL의 1~4시드와 LEC / LCS의 1~3시드,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한 2팀이 참가하며, 이 중 8팀이 녹아웃 스테이지로 진행합니다. 5개 라운드를 진행하며, 라운드가 끝날 때마다 성적이 같은 팀끼리 매칭하여 다음 라운드를 진행합니다. 3승을 달성하면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하고 3패를 달성하면 탈락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2022 월즈까지 있었던 그룹 스테이지를 계승하는 스테이지로, 2023 월즈에서 가장 많이 변경된 부분이기도 합니다.

진출전/탈락전(3판 2선 진행)

라운드 1

각 팀이 무작위로 다른 지역의 팀과 짝을 이루어 대결합니다.

라운드 2

승자전(1-0)

패자전(0-1)

라운드 3

진출전(2-0)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녹아웃 스테이지에 1등/2등으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4라운드로 진출합니다.

1-1 경기

탈락전(0-2)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4라운드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탈락합니다.

라운드 4

진출전(2-1)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녹아웃 스테이지에 3등/4등/5등으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5라운드로 진출합니다.

탈락전(1-2)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5라운드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탈락합니다.

라운드 5

최종전(2-2)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녹아웃 스테이지에 6등/7등/8등으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탈락합니다.

녹아웃 스테이지

8강부터 결승까지 치르며 BO5로 진행되는 싱글 토너먼트입니다. 롤드컵을 쭉 봐오시던 분들이라면 여기에 변경점은 없습니다.

8강에서는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진출한 8팀이 맞붙게 됩니다. 성적에 따라 배정되며, 자세한 배정 방법은 추후에 공지된다고 합니다.

라이엇의 언급에 따르면 이러한 대진 방식의 변화는 다음 3가지를 중점에 두면서 바꿨다고 하네요

  1. 기존 방식에서 녹아웃 스테이지를 제외하고 모든 경기에서 적용되었던 단판제보다 3판 2선, 5판 3선 등의 다전제를 더 많이 구성하기 위해
  2. 월드 챔피언십의 모든 경기가 중요한 역할을 갖게 하고, 쓸모없는 경기를 없애기 위해
  3. 대회 초반에 좋지 않은 성적을 낸 팀이 역전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23년 롤드컵 진출팀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