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xSound 다운로드, 사용법, 설정추천, 배그 설정 2024년 최신, 소리 안들림, 프리셋

FxSound 소개

디지털 오디오 경험 향상

DFX Audio Enhancer 는 디지털 음악 파일을 더 고품질로 만들고 컴퓨터로 재생 되는 음악의 음질을 향상 시키거나 자신이 자기고있는 음악 파일 또는 온라인에서 듣는 음악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음질로 만들어줍니다.

개발자들은 DFX Audio Enhancer 를 사용하여 PC 사운드를 완벽하게 고음질로 만들수 있다고 합니다.

DFX Audio Enhancer는 음악 및 비디오 사이트에서부터 YouTube , 넷플릭스 뿐만 아니라 음악 서비스 iTunes , Spotify , VLC , 퀵타임 , 및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 모든곳에 호환됩니다..

스테레오를 조절하고 스테레오를 높이며 오디오 품질을 높이고 깊고 풍부한 저음을 생성 할 수 있습니다.

모든 기능을 갖춘 미디어 플레이어로 PC의 사운드 옵션을 조정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러한 모든 기능을 쉽게 제어 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

fxsound 사용법은 일단 잘 모르겠으면 아무것도 건들지 말고 전원 버튼을 눌러서 사운드가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해 보면 됩니다. 이것만으로도 충분한 변화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외 설정이나 eq는 무엇을 어떻게 바꾸면 좋을지 몰라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왼쪽을 보면 사운드 요소를 조정하는 슬라이드가 있습니다.

그런데 일일이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면서 어떻게 바뀌는지 알아보는 것은 꽤나 번거로운 일입니다. 그냥 딱 듣고서 어떤 게 부족하니까 이걸 올려야지 하고 사용할 줄 아시는 분들은 다행이겠지만, 아닌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프리셋을 변경하는 것이 더 쉬운 방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왼쪽 상단의 프리셋을 눌러서 상황에 맞는 것을 것을 선택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서 영화를 볼 때는 Movies, 드라마나 예능을 볼 때는 TV를, 음악은 Music, 게임할 때는 Gaming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러면 그 상황에 맞게 EQ와 음장 설정이 변경됩니다.

왼쪽에 음장효과 오른쪽의 EQ가 미리 설정된 프리셋에 따라서 알아서 조정됩니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 버튼을 끄기만 하면 됩니다.

프리셋을 상황에 맞춰서 변경해 줘야 된다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귀찮으면 그냥 General에 두고 사용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프리셋 외 다른 프리셋을 적용하는 방법 메뉴를 눌러서 Download Bonus Presets를 누릅니다.

그러면 웹페이지가 열리고 몇 가지 추가 프리셋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필요한 것만 다운로드해서 써도 되고 혹시 모르니 전부 다 받아도 상관없을 듯합니다. 확장자는 .fac 이며, 다른 사람이 커스텀 한 걸 따로 구하셔도 됩니다.

다시 돌아와서 메뉴를 눌러서 Import Presets을 클릭합니다. 전원을 켜지 않으면 글자가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프리셋을 받은 폴더를 선택하라 뜨는데, 한글 폴더는 공란으로 표시되며 .fac파일이 뜨거나 인식되지는 않기 때문에 폴더만 제대로 선택해 주고 Import를 누릅니다.

프리셋을 열어서 확인해 보니 방금 전에 추가시켰던 것이 목록에 들어간 것을 확인했습니다. 음악은 또 장르마다 또 다르게 설정하다 보니 오히려 그냥 Music에 두는 것이 덜 귀찮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Fxsound는 만능은 아니며 한계는 있습니다. 너무 저급한 스피커나 이어폰 같은 출력장치에서는 어쩔 수 없이 다 찢어지는 소리 나 노이즈만 더 커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하드웨어를 바꾸기 전에 Fxsound를 일단 써보고 결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컴퓨터에서 나오는 소리를 조금 더 생기있게 증폭시켜 준다고 표현하는 게 적절하다 판단됩니다. 사운드 장치를 변경한다는 것은 항상 돈이 드는 것이므로 그전에 시도해 볼 만한 것입니다.

메뉴 설정

Clarity (명쾌함) : 프리셋 기본값으로 사용하셔도 되고, 취향껏 조절하면 된다.

Ambience (분위기) : 우측 EQ 그래프값을 조절해서 기복이 있을 경우, 그 사이를 리니어 처리하는 강도라고 생각하면 되다. EQ 벤드를 가파르게 조절한 경우 특정 영역에서 점프하는 것을 리니어하게 해줄 것이다.

Surround Sound : 서라운드 부스트 기능 입니다. 제법 넓은 공간감을 얻을 수 있으나 과하면 좋지 않습니다.

Dynamic Boost : FX Sound의 핵심 기능1 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볼륨 업 기능 입니다. 값 4~5 정도만 되어도 충분한 부스트가 됩니다. 역시나 너무 많이 올리면, 이질감이 생기니 조심합시다.

Bass Boost : FX Sound의 핵심 기능2 입니다. 풀 레인지 스피커에서의 저음영역 및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에서의 서브우퍼 or LFE 채널을 부스트 해줍니다. 값 1~3 정도만으로도 확실한 효과를 봅니다. 너무 많이 올리진 않길 추천드립니다.

FxSound 버그 현상 (오류)

소리는 좋아지는데 이상하게 이 프로그램 깔고부터 절전모드 해제될때 소리가 안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윈도우 기준 우측 하단 스피커 UI 마우스 우측클릭 > 소리설정열기 > [사운드 장치 관리] 안 쓰는 장치 전부 “사용 안함” 하면 해결됩니다. (+사운드 출력 장치 자동 스위칭 옵션 해제)

부팅할때마다 FxSound가 해제되면, 소리믹서 열어서 풀력장치를 FxSound Enhancer로 설정하면 됩니다.

베그 추천 설정

이퀄라이저 설정 무료 프로그램 FxSound 설정값

명쾌함 : 0 / 분위기 : 0 / 서라운드 사운드 : 0 / 다이나믹 부스트 : 4 / 베이스 부스트 : 4

+0 : 129Hz / +2 : 238Hz / -5 : 444Hz / +2 : 805Hz ~ 807Hz / +0 : 1.36kHz / -5 : 2.52kHz / -5 : 4.40kHz / +2 : 7.93kHz / -3 : 12.57kHz

소리 안들릴때 해결 방법

기본 오디오(보통은 리얼텍) 장치에 음장효과(돌비나 뭐 그런거)가 적용이 되어 있어서 그런거 일수 있습니다.

음장효과를 OFF 했더니 이제 기본으로 FxSound로 다시 소리가 나오더군요.

요즘 모니터는 스피커는 없으면서 이어폰연결잭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거기에 볼륨조절 옵션까지 있어 스펙을 보지 않으면 스피커 있는 모니터 인줄 착각도 합니다.

이런 모니터의 경우 이런 증상을 쉽게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모니터의 경우 자동으로 체크하는 기능을 꺼주면 됩니다.

여러개의 장치를 사용하는 PC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자동 체크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자동이란 것의 의미가 모든 것에 대한 자동이 아니라 어떤 특정 조건에 한하는 자동이기 때문에 그 범위에 들어가지 않으면 없는 것만 못한 것입니다.

이 프로그램의 아쉬운것은 가장 마지막 설정을 그대로 유지 하는 기능이 더 우선하면 스피커에서 소리가 안들리는 그런 문제를 맞닥드리는 일은 없었을텐데 입니다.

FxSound 다운로드 바로가기

컴퓨터 게임 핑 속도 올리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