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rive 다운로드, 사용법, 시놀로지 2024년 최신

RaiDrive 소개

레이드라이브(RaiDrive)는 오픈박스연구소(OpenBoxLab)에서 개발한 윈도우용 클라우드 스토리지 게이트웨이(cloud storage gateway) 소프트웨어로, 윈도우의 기본 기능으로 연결할 수 없는(또는 어려운) 원격 스토리지를 윈도우 파일 탐색기의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만들어주는 것이 핵심기능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스트리밍을 지원하지 않는 원드라이브 등도 다운받지 않고 스트리밍으로 볼 수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청)의 2015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된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개발이 시작되었으며, 2017년 최초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다른 프로그램과 같이 CBF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며, CBFS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나 버그가 RaiDrive에도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RaiDrive 공식홈페이지 다운로드 바로가기

지원하는 원격 스토리지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장비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연결할 수 있다. 개인용, 기업용, 교육용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모두 지원하며,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NAS[4], 공유기[5], 서버[6]와도 연결가능하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구글 드라이브 (Google Drive)

구글 팀드라이브 (Google Team Drive)

구글 포토 (Google Photos)

원드라이브 (OneDrive)

셰어포인트 (SharePoint)

원드라이브 차이나 (OneDrive China)

쉐어포인트 차이나 (SharePoint China)

드롭박스 (Dropbox)

네이버 마이박스 (Naver MYBOX)

박스 (Box)

메가 (MEGA)

피클라우드 (pCloud)

얀덱스 디스크 (Yandex Disk)

메일루 클라우드 (Mail.ru Cloud)

아마존 S3 (AWS S3)

아마존 S3 Compatible (AWS S3 Compatible)

애저 스토리지 (Azure Storage)

구글 클라우드 스토리지 (Google Cloud Storage)

네이버 오브젝트 스토리지 (Naver Object Storage)

알리바바 오브젝트 스토리지 (Alibaba Object Storage)

와사비 오브젝트 스토리지 (Wasabi Object Storage)

아이비엠 오브젝트 스토리지 (IBM Object Storage)

디지털오션 스페이스 (Digital Ocean Spaces)

백블레이즈 B2 (Backblaze B2)

엔에이치엔 클라우드 (NHN Cloud))

민아이오 (MinIO)

텐센트 클라우드 (Tencent Cloud)

표준 프로토콜

WebDAV (Web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 웹 분산 저작 및 버전 관리)

FTP/FTPS (FTP Secure, FTP-SSL)

SFTP (SSH/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사용법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몇 가지 안내사항을 알려줍니다. 플러스 모양 아이콘의 <추가>버튼을 눌러 기존에 가지고 있는 서버를 등록해 줄 수 있습니다.

personal이라는 스토리지 메뉴가 가장 먼저 보입니다.

​본인이 구글 드라이브 혹은 원드라이브, 드롭박스, 네이버 마이박스 등 인터넷 클라우드 서비스를 네트워크에 등록하여 드라이브 형태로 사용하고자 하신다면, personal이라는 메뉴에서 진행이 가능합니다.

​해당 원하는 서비스를 누른 뒤 <연결>버튼을 누르면 아이디와 계정 로그인 후 자동으로 레이드라이브 설정 까지 완료됩니다.

​nas를 이용하고 싶은 분들은 <nas>라는 메뉴를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여러 갈래로 나눠지게 되는데 webDAV 인지, FTP 인지, ip time 공유기를 활용한 nas 구축인지, synology 인지에 따라 여러 갈래로 나눠질수 있습니다.

​<주소>에는 호스트 또는 IP 어드레스를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우측에는 연결 포트 1~65535까지의 번호를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계정>에는 사용자 ID <비밀번호>에는 지정해두신 암호를 작성해 줍니다.

​이후, <연결>버튼을 누르면 완료됩니다.

레이드라이브 설정이 완료되면 서버에 저장된 드라이브 정보가 pc에 다운로드 되게 되며, 인터넷이 접속되는 환경에서는 언제든지 raidrive를 통해 폴더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는 컴퓨터 안의 <내 PC> 네트워크 위치에서 상시 확인이 가능합니다. 컴퓨터에 꽂혀있는 SSD나 하드디스크와 같이 작동하게 됩니다.

시놀로지 나스 외부연결을 위한 WEBDAV기능 활성화 하기 

우선 내 시놀로지NAS를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해야겠죠?  WEBDAV 세팅 먼저 시작해보겠습니다. 

1. 패키지 센터에서 WEBDAV를 검색한 후 WEBDAV SERVER를 설치합니다. 

2. 설치된 WEBDAV을 세팅합니다. 

– HTTP는 비보안 연결이니 체크 해제하고 HTTPS만 체크해줍니다.

 (포트번호는 자유롭게 설정하셔도 좋습니다.)

– DavDepthInfinity 활성화를 체크합니다. 

  (이 기능은 파일 경로 길이 제한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webDAV 로그 활성화를 체크합니다.

  (webdav 로그  기록을 남겨줍니다.)

3. webdav 설정 포트를 열어줍니다. 

– 시놀로지 > 제어판 > 외부 액세스 > 라우터 구성에서 WEBDAV SERVER를 등록해줍니다.

– UPNP기능이 있다면 위 NAS 설정을 통해 NAS가 바로 공유기의 포트를 열어주게 됩니다. 

– 라우터설정을 눌러서 UPNP기능으로 등록하셔도 좋고, ‘생성’버튼을 클릭해서 해당 포트를 추가하셔도 됩니다. 이제 외부에서도 내컴퓨터를 열어서 ‘네트워크 위치 추가’를 통해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과 동일하게 NAS와 연결이 가능해졌습니다. 다만, 연결이 가능해졌다는 것은 NAS한쪽의 상황만 말씀드린 것으로 일부 PC의 경우 윈도우 환경,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해 아예 접속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설정을 다 완료하시면 시놀로지 NAS 를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외부에서도 내 하드처럼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다는것이 정말 유용한것 같습니다. 한번 열결하기가 좀 어렵긴할것같지만 초보자분들도 요즘에는 네이버나 구글에 자세하게 설명 해주시는분들이 정말 많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한번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free 에서는 처음 PC부팅시 또는 슬립모드에서 깨어날때 아래와 같은 광고가 우측하단에 나오는것 같습니다. 수시로 광고가 올라오는건 아니라서 나는 사용하는데 그리 거슬리지는 않았습니다.

컴퓨터 게임 핑 속도 올리는 법 알아보기!